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수치표고모형
- GPSWEEK
- 온맵 #국토지리정보원 #온맵제작
- 수치표면모형
- 초분광영상처리요소기술
- 국제원자시의측정방법
- Tasseled Cap 변환
- ㅜ
- 기출문제 #기출문제분석 #반복출제 #측량및지형공간기술사
- 초분광이미지
- 국제원자시의정의
- TIMEOFWEEK
- 측량및지형공간기술사 #기출문제 #논술문제
- 사진의특수3점 #투영방법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 #출제기준 #출제유형
- 국제원자시의원점
- Hyperspectral
- 수치표고자료
- 초분광이미지의분류
- 제125회
- 항공사진특수3점
- 용어정리 #GPS오차원인 #구조적원인 #기하학적오차 #SA
- 측량및지형공간기술사
- 가우스곡선 #오차곡선 #확률밀도함수
- 경중률
- 제7차국가공간정보정책
- 비전 #목표 #추진전략
- 경중률 #최확값
- GPSTIME
- Tasseled Cap
- Today
- Total
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제7차 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본문
1) 개요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의 전략 및 세부 추진과제를 실행하여 모든데이터가 연결된 디지털트윈 KOREA 실현을 목표로 합니다.

2) 비전
세상에서 생산되는 모든 정보들이 자기 위치와 자기시간을 가지고 제 위치에 가게되면 모든 데이터가 연결된 디지털트원 KOREA가 실현됩니다.

3) 목표
디지텅트윈 비전 실현을 위한 3대 목표로 생산혁신(현실과 가상이 공진화하는 국가디지털트원 구축) , 유통/산업 활성화(공간정보플랫폼 기반 데이터 산업 활성화), 디지털 사회 기여(사회혁신을 위한 국토의 디지털전환)로 구성됩니다.

4) 추진전략
총 7개의 추진방향을 정리하여 4개의 추진전략을 수집하였습니다.

전략 1) 생산혁신 - 국가디지털트원을 위한 데이터 생산체계 개편
상향식과 하향식이 상호보완된 국가 디지털트윈 데이터 구축·갱신
국가 디지털트윈 체계 구축을 위한 표준 기반 마련

전략 2) 유통/활용 개선 -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자원 유통/활용 활성화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는 공간정보 유통플랫폼 구축
데이터연계/융합 활용확대를 위한 기반환경 조성
민간 주도의 공간정보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한 활용생태계 활성화


전략 3) 산업 체질 전환 - 공간정보융복합산업을 위한 인재양성과 기술개발
공간정보 디지털 창의인재 10만 양성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산업 구조 갭편
국토의 Dx(디지털트윈)를 위한 혁신기술 개발


전략 4) 생태계 기반 환경 조성 - 디지털트윈 생태계를 위한 정책환경 조성
국가디지털트윈 생산-유통-활용을 위한 제도기반 고도화
디지털트윈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