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온맵 #국토지리정보원 #온맵제작
- 국제원자시의정의
- GPSWEEK
- 측량및지형공간기술사 #기출문제 #논술문제
- 수치표고모형
- 수치표면모형
- 용어정리 #GPS오차원인 #구조적원인 #기하학적오차 #SA
- 초분광이미지
- 국제원자시의측정방법
- 수치표고자료
- 경중률
- 초분광이미지의분류
- ㅜ
- Tasseled Cap 변환
- 제125회
- TIMEOFWEEK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 #출제기준 #출제유형
- 국제원자시의원점
- 기출문제 #기출문제분석 #반복출제 #측량및지형공간기술사
- 제7차국가공간정보정책
- Hyperspectral
- 사진의특수3점 #투영방법
- 비전 #목표 #추진전략
- 가우스곡선 #오차곡선 #확률밀도함수
- 항공사진특수3점
- 측량및지형공간기술사
- 경중률 #최확값
- 초분광영상처리요소기술
- Tasseled Cap
- GPSTIME
- Today
- Total
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본문
1. 정의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란 “위치정보”의 수집·이용·제공과 관련된 모든 유형의 서비스를 지칭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위치정보”는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하 위치정보법)」 제2조에 정의되어있는데, 이동성 있는 물건 또는 개인이 특정한 시각에 존재하거나 존재하였던 장소에 관한 정보로서 전기통신설비 및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이용하여 수집한 것을 의미합니다.
2. 위치정보사업의 허가와 신고
위치정보법 제5조(위치정보사업의 허가 등) 및 제9조(위치기반서비스사업의 신고)에 따라, 국내에서 위치정보사업을 하고자하는 사업자는 방송통신위원회외 허가 또는 신고를 해야합니다.
“위치정보사업”이란 위치 측위 기술을 활용하여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사업으로, 이동통신사 등이 해당됩니다.
“위치기반서비스사업”이란 위치정보사업자로부터 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친구찾기, 물류, 차량관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스마트폰 앱개발·운영사 등이 해당됩니다.
3. LBS의 작동원리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크게 측위 기술(LDT: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위치 처리 플랫폼(LEP:Location Enabled Platform), 위치 응용 프로그램(LAP:Location Application Program)의 3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보는 시각이 보편적이다.
1) 측위 기술(LDT: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① GPS 기반 측위기술
서비스 공급자는 무선 단말에 내장된 GPS칩을 통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단말은 복수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로부터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측위 기능 전체를 직접 담당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그 좌표를 입력값으로 각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이동통신망에 보급되어 있는 단말은 저전력 및 낮은 계산성능 문제로 위성신호 수신과 좌표 계산 기능을 직접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GPS 신호를 보조적으로 이용하고, 인접 이동통신 기지국의 거리 관계 및 전파 상태 측정값을 추가하여 복합적으로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혼합 측위 방식이 다양하게 고안되어 왔으며 이를 일반적으로 A-GPS(Assisted GPS)라고 지칭한다. 이때 근접 복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전파 상태에 기반한 위치 관계 계산에 무선표정(無線標定, radiolocation) 방법과 삼변측량(三邊測量, trilateration) 방법이 이용된다.
② 기지국 기반 측위기술
또 이동통신사 및 위치 정보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위치 관계를 계산하는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단일 기지국 기준 위치 조회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동통신 망은 그 특성 상 기지국 기준의 단말 이동성 관리를 항상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은 별도의 측위 시스템 추가와 위치 요청 시 측위 계산 부하 없이도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위치 측정값의 정확도는 GPS 및 그에 준하는 위성 기반 위치 측정 방법이 가장 높으며 기지국 기반 방식은 위경도 좌표가 아닌 지역 구분만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도가 가장 낮다.
2) 위치 처리 플랫폼(LEP:Location Enabled Platform)
위치 처리 플랫폼은 측위 기술에 의해 얻어진 사용자나 사물의 위치를 취합하고 일관된 표현의 정보로 가공하여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응용 프로그램단의 구성요소들에 서비스하거나,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구성요소를 통틀어 일컫는다.
이동통신 네트워크 모델에서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를 두고 이동통신망 내부의 이동성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단말의 기지국 기반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 IP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위치 응용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관문 역할을 하는 설비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GMLC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처리 플랫폼의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또, A-GPS 방식의 이동통신 위치 기반 서비스 구성에서 유사한 역할을 하도록 정의된 위치정보센터(MPC: Mobile Positioning Center) 역시 위치 처리 플랫폼의 한 예이며, GMLC/MPC의 위치 통합 기능에 접근하기 위한 위치 응용 프로그램과의 표준 프로토콜을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 관리하고 있다.
3) 위치 응용 프로그램(LAP:Location Application Program)
위치 처리 플랫폼과 통신하여 개별 사용자 및 사물의 위치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가공된 콘텐트를 제공하거나 수집된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뜻한다. 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위치 응용 서버(Location Application Server)와 위치 콘텐츠 서버(Location Contents Server)로 계층화하기도 하는데, 위치 응용 서버는 'LBS 플랫폼'이라고 별칭되기도 하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기본적인 위치 기반 부가서비스 제공 역할과 외부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동시에 담당하는 설비이다.
대표적인 콘텐츠 서비스는 실내 위치 찾기, 실시간 위치 추적, 네비게이션, 위치기반 광고·마케팅 등 다양한 서비스가 많이 쓰이고 있다. 위치기반 AR 게임의 대표적인 예인 ‘포켓몬고(Pokemon Go)’를 비롯하여, AR/VR, 사물인터넷(IoT), 무인자동차, 드론 등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는 최신 기술과 LBS가 융합된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외에도, 국민안전처·경찰청 등 긴급구조기관에서 요구조자의 위치정보를 조회하여 초동 조치에 적극 활용하는 등 사회 안전망 구축에도 위치정보가 적극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