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약최고고조면(A.H.H.W)과 평균해면(MSL) 본문

카테고리 없음

약최고고조면(A.H.H.W)과 평균해면(MSL)

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2023. 3. 28. 23:32
728x90
반응형

1. 약최고고조위(A.H.H.W.L)와 평균해수면(M.S.L)의 정의

①  약최고고조위(A.H.H.W.L: approximately highest high water level) 란 연 평균 해면으로부터 조석조화분석에 의해 산출된 주요 4개 분조 (M2, S2, O1, K1 분조)의 반조차의 합만큼 올라간 면을 말한다.
② 평균해수면(M.S.L: mean sea level)란 어떤 기간 조석을 관측하여 산술평균한 높이를 기본수준면 기준으로 보정한 것을 말한다.

 

주요 4대 분조의 상세설명은 다음과 같다.

기호
분조명
의미
각속도(°/h)
주기(h)
M2
주태음반일주조
달이 천구를 한 바퀴씩 회전하는 현상에 의한 조석의 주기
28.9841042
12.4206012
S2
주태양반일주조
태양이 천구를 하루 한 바퀴씩 회전하는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조석의 주기
30.0000000
12.0000000
K1
일월합성일주조
달과 태양이 적도 상을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분조
15.0410686
23.9344697
O1
주태음일주조
주로 달의 운동에 기인한 조석성분
13.9430356
25.8193417

 

2. 조석의 기준면

조위기준면(Tidal Datum)은 조위 승강에 의한 높이의 기준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면이다. 조위기준면은 국가별로 상이한 기준면을 사용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각 조위관측소에서 장기간 관측된 조위자료를 조화분석하여 계산한 조화상수 중, 주요 4개 분조(M2, S2, K1, O1)의 반조차를 이용하여 각종 조위 기준면을 계산한다.

 

이러한 조위기준면은 검조표척을 이용한 수준측량을 통해 조위관측소 부근에 매설한 기본수준점(Tidal Bench Mark, TBM)과의 높이 차이를 통해 알 수 있으며, 이 기본수준점을 육상 수준점과 연결시켜 국가 평균해수면 원점과 지역 평균해수면과의 차이를 계산한다.

 

 

 

3. 조석의 관측

① 조석관측은 기준조위관측소 등에서 실시하는 1년 이상 장기 관측과 수로측량에서 실시하는 1년 미만의 단기 관측으로 구분된다.

② 조석조화분석에 사용되는 조석관측 자료는 관측간격이 1시간 이하 자료를 이용한다. 

③ 조석관측에 의하여 결정한 평균해수면, 기본수준면 및 약최고고조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본수준점을 설치하여야 한다. 

④ 측량지역의 단기 관측자료로 부터 평균해수면, 기본수준면 및 약최고고조면을 결정할 때, 기준조위관측소 선정은 단기 관측 지역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조석의 형태가 비슷한 기준조위관측소를 선택하여야 한다. 

⑤ 평균해수면의 높이, 약최고고조면의 높이는 기본수준면을 기준으로 하여 표시한다. 

 

4. 평균해수면의 결정

① 평균해수면은 일정기간의 조석관측 자료로부터 산술평균하여 산출한다. 

② 기준조위관측소의 평균해수면은 1년 이상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이를 연평균해수면이라 한다.

③ 단기관측을 실시하는 측량지역에서, 연평균해수면을 구하려면 단기관측으로부터 산술평균으로 얻은 평균해수면에 계절변화에 따른 변동량을 다음 방식으로 가감하여야 한다.

 

5. 약최고조조면의 결정

① 약최고고조면은 연평균해수면에서 주요 4대 분조의 반조차 합만큼 올라간 면이다. 

② 단기관측을 하는 측량지역의 약최고고조면은 보정에 의하여 얻은 연평균해수면과 보정에 의한 주요 4대 분조의 반조차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6. 장기조석의 관측 성과표 (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