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수치표고모형(DEM)과 수치표면모형(DSM) 본문

카테고리 없음

수치표고모형(DEM)과 수치표면모형(DSM)

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2023. 3. 29. 13:21
728x90
반응형

1. 수치표고자료의 분류

 


1) DEM(Digital Elevation Model)
 수치표고모형은 수치지형 또는 수심측량 데이터에 관한 일반적인 용어로써 DEM(Digital Elevation Model)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DEM은 식생과 인공지물을 포함하지 않는 지형만의 표고값을 의미하며, 강/호수의 DEM 높이값은 수표면을 나타낸다.

2) DTM(Digital Terrain Model)
 DEM과 유사한 뜻으로 사용되며, DEM과 비슷하지만 지형을 좀더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불규칙적으로 간격을 갖는 불연속선(breakline)이 존재한다는 것이 다르다. DTM의 최종적인 결과는 특정 지형을 명확히 묘사하는 것이며, 등고선은 지형의 실제 형태에 가깝도록 DTM으로부터 생성하곤 한다.

3) DSM(Digital Surface Model)
 DSM은 DEM, DTM과 유사한 뜻으로 사용되지만, 지표면의 표고값이 아니라 인공지물(건물 등)과 지형지물(식생 등)의 표고 값을 나타내며 원거리통신관리, 산림관리, 3D 시뮬레이션 등에 이용된다.

 

2. 수치표고자료의 정의

1)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이란, 지표면의 모든 물체의 높이를 포함한 데이터입니다. 다시 말해, 지표면 뿐만 아니라 건물 등의 인공물과 나무 등의 자연물의 높이가 포함된 데이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에 대한 정의는 조금 복잡합니다. 세계 각국에서 수치표고모델(DEM)의 정의에 대한 다양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하나의 합일점을 찾지는 못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치표고모델(DEM)은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을 위해 사용되는 자료의 통칭으로, 수치표면모델(DSM)과 수치지형모델(DTM)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국내 유관 기관에서도 이 정의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3) 수치표고자료에 대한 이슈사항

주장 1. 수치표고모델(DEM)은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정의된 자료의 통칭으로 수치표면모델(DSM)과 수치지형모델(DTM)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주장 2. Bare Earth를 표시하는 수치표고모델(DEM)과 수치지형모델(DTM)과 동일한 개념이다.
주장 3. 수치표고모델은 높이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X,Y,Z 값을 가지고 있는 수치지형모델(DTM)이 수치표고모델의 보강된 형태이다.

 

3. 수치표고자료의 생성 및 저장방식

 

수치표고모델의 저장 방식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일정크기 해상도를 가지는 격자의 형태로 저장되는 격자 방식

2) 높이가 같은 지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만든 등고선에 의한 방식

3) 단층에 의한 프로파일 방식

4) 불규칙한 삼각형에 의한 TIN(Triangular Irregular Network)방식 등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