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독도의 측량 및 지도제작 현황 본문

카테고리 없음

독도의 측량 및 지도제작 현황

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2023. 11. 9. 17:57
728x90
반응형

1. 독도의 측량

 

1) 독도 일반현황

울릉도에서 직선거리로 87.4km 떨어진 동해상의 독도는 날씨가 맑으면 울릉도에서 육안으로 보이기 때문에 언제부터라 할 것 없이 우리는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지리상으로 그 위치가 알려지게 된 것은 1849년 1월27일(헌종 15년) 고래를 쫓아 동해로 들어왔던 프랑스 포경선 리앙쿠르(Liancourt)호에 의해서다. 섬의 위치를 북위 37°14′, 동경 129°35.2′으로 측정하고, 섬의 명칭을 ‘리앙쿠르 암’이라고 붙였는데, 이듬해 프랑스 수로지에 실리면서 서양에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비록 지리상의 위치만 측정한 것이지만, 이것이 독도에 대한 최초의 근대적 측량이었고, 해도에 명칭이 기재된 최초의 기록이다.

 

독도의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기본수준점 조사는 기본수준면부터 기본수준점 표지까지의 높이와 위치가 정확한지 등을 확인하는 절차로 이루어지며, 새로운 기본수준점이 필요한 지역은 조석관측을 실시하고 기본수준점 표지를 매설하여 높이와 위치를 측량합니다.

 

2) 독도의 수준점

우리나라 최동단에 위치한 독도는 2008년 10월 독도 수준원점 11을 매설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3) 독도의 삼각점

동도 삼각점(독도11)

우리나라 최동단에 위치한 독도는 독도11 삼각점을 매설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도 삼각점(독도401)

 

2. 독도의 지도제작 현황  

정부의 독도 지형도 제작 역사는 1954년 해군수로국(현 국립해양조사원)이 1/2000 지형도를 제작하면서부터다. 당시엔 측량장비 등 기술수준이 낮아 오늘날에 비해 정확도가 낮았다.

현재는 디지털 카메라 영상으로 독도 지형을 보다 정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특히 2008년부터 항공레이저 측량으로 디지털 표고데이터를 확보해 독도의 경사도·방향 분석도 가능해졌다.

국토지리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측량을 통해 정확한 독도의 지리정보를 국내·외에 제공함으로써 독도의 영토주권을 확고히 하는 데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독도 수치지형도와 항공사진은 국토지리원 홈페이지 www.ngii.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광복이후 독도 측량 및 지리정보 구축 연혁

시 기 독도 측량 및 지리정보 구축 연혁
1962. 09 천문측량 및 지형측량 지형도 제작 (1/3, 국립건설연구소)
1965. 07 국립건설연구소가 육군측지부대 자료를 이용 편집(1/5)
1980. 05 국립지리원 (현 국토지리정보원) 천문측량, 검조측량, 수준측량 실시 및 1/3, 1/8천 항공사진촬영
(1/1, 1/5천 지형도제작). 국가기준점 설치
1989 ~ 1990 교통부 수로국 독도 재 측량 및 1/1만 해도제작
1998. 05 GPS에 의한 국가 기준점 측량 실시
2000. 12 독도 1/1천 수치지도 및 1/5천 제작
2004. 07 울릉도 및 독도의 GPS에 의한 국가기준점측량 실시
2004. 07 1/3백만 동북아지도(영문판) 제작배포
2005. 01 울릉도 독도 기준점 재측 및 수치수지도 수정제작
2007. 01 위성기준점(GPS) 설치(전 해양수산부)
2008. 01 LiDAR 및 디지털 항공사진측량 실시 (3차원 입체영상 제작)
2008. 02 독도/동해를 표기한 국가지도집(영문판) 발간배포
2008. 10 국가 기준점 망실되어 재설치(2개소)
* 독도 헬기장 및 초소 설치로 매몰(독도11), 접근곤란 (독도402)
2010. 05 독도 중력측량(절대) 실시
2011. 01 독도지리지 국문판 발간배포
2012. 09 국가기본도 수정제작(1/5천 수치지도 수정)
2012. 12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독도지리넷 국문 홈페이지 오픈
2013. 04 독도지리지 영문판 발간배포
2013. 05 독도 중력측량(절대) 실시, 독도지리넷 영문 홈페이지 오픈
2013. 10 교육용 독도지도 제작배포(국토지리정보서울시교육청 공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