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지성선(Topographical Line) 본문

카테고리 없음

지성선(Topographical Line)

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2023. 4. 13. 21:16
728x90
반응형

1. 지형의 표시방법

1) 자연적 방법

태양관이 지표면을 비칠때 생긴 음영의 상태를 이용하여 지표면의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법

 

- 영선법(우모선법): 짧은 털 모양의 선 기호를 사용하여 지형을 표현

- 음영법(명암법): 지표 경사에 따라 명암의 음영에 의해 기복을 표시

 

2) 기호적 방법

일정한 부호를 사용하여 지형을 세부적으로 정확히 나타내는 방법

 

- 점고법: 하천, 항만, 해양 측량 등에서 수심을 수치로 나타내는 방법

- 채색법: 연속하는 등고선 사이의 구역을 몇개의 구역을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 따라 동일한 색의 농담으로 채색하는 방법

- 등고선법: 동일 표고를 한 곡선으로 하여 지형의 기복을 나타낸느 방법으로서, 지형도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방법

 

2. 지성선의 정의

지형도를 보면 수많은 등고선이 그어져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요면(凹)과 철면(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요면은 철면을 경계로 하여 물이 흐르는 계곡으로 이어진다. 즉, 요면은 계곡으로 이어지고 철면은 능선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요면의 제일 낮은 곳과 철면의 제일 높은 곳의 연속적인 연결을 지성선(地性線) 또는 지세선(地勢線)이라고 한다.

 

지성선이란 철선과 요선을 총칭한 것으로 지표면의 지모(地貌) 즉, 고저, 기복, 비탈 등은 모두 철선과 요선이 여러 가지 형태로 뒤섞여 이루어진 것이므로 지도를 읽을 때는 등고선과 지성선의 밀접한 관계를 알아야 한다. 지성선은 산의 개념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지도를 읽는다는 것은 등고선에 의한 요면과 철면의 지성선을 연결하여 지형을 읽고 주위의 지형지물을 파악하는 것이다.

 

 

 

3. 지성선의 종류

1) 철선(凸線, 능선)

철선은 지표면의 높은 곳을 연결한 선으로 빗물이 이 선을 경계로 하여 양쪽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분수선(分水線) 또는 능선이라고 한다. 지형도에는 이 철선이 그어져 있지 않으므로 산의 개념이 빨리 떠오르지 않을 경우에는 지도상에 등고선의 분수선들을 차례로 연결하면 철선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 철선들을 지도상에 연필로 긋는 연습을 계속하다 보면 지형의 형상이 떠오르게 된다.

 

철선의 형성과 분기(分岐)
① 철선은 반드시 2개의 요선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요선이 없는 철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② 철선은 대체로 직선에 가까우며 구부려질 때는 대부분 지선이 다시 만들어진다. 
③ 철선은 구배(勾配) 즉, 경사가 급하면 짧고 경사가 느리면 길게 된다.
④ 철선은 주변에서 제일 높은 산봉우리에서는 여러 갈래로 분기 될 수 있으나 그 외에 봉우리 또는 능선에서는 한 지점에서 3방향 이상으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⑤ 철선은 정상에서 볼 때 “Y" 자 즉, 나뭇가지 모양이며 내려가면 갈수록 여러 갈래임.

 

 

2) 요선(凹線, 계곡선)

요선은 지표면의 낮은 곳을 연결한 선으로 물이 흐르는 합수선 또는 계곡선(溪曲線)이라고 한다. 물이 산의 경사면을 흘러 합쳐지는 곳을 요선이라고 하는데 계곡, 하천 등이 여기에 속한다.

 

요선의 형성과 회합(會合)
① 요선은 반드시 2개의 철선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요선 또한 철선이 없이는 존재하지 않음
② 요선은 대체로 곡선에 가까우며 두 요선의 회합에 의하여 새로운 방향이 형성된다.
③ 요선은 구배(勾配) 즉, 경사가 급하면 짧고 경사가 느리면 길게 된다.
④ 요선은 두 요선의 회합에 의하여 하나로 뭉쳐지는데 한 지점에 2개 이상의 요선이 결합되지 않는다.
⑤ 요선은 계곡선에서 볼 때 “Y"자 즉, 나뭇가지 모양으로 내려가면 갈수록 합쳐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