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완화곡선 본문

카테고리 없음

완화곡선

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2023. 4. 17. 22:31
728x90
반응형

1. 완화곡선의 정의

완화곡선은 도로 선형을 설계할 때 시점 및 종점에서 접속하는 노선의 곡률과 동일한 곡선을 말한다. 완화곡선을 설치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직선부에서 원곡선부로 차량이 이동할 때 물리적,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속도를 줄이지 않고 쾌적하게 이동하게끔 하기 위해서이다.

2. 완화곡선의 설치 목적

 곡률 접속 설치 : 주행시 불쾌감 제거

 편경사 접속설치 : 편경사 차이 해소

 확폭 접속설치 : 작은 곡선 반경의 곡선부 확폭

시각적인 원활 : 원곡선의 시종점에서 절곡된 형상을 시각적으로 원활하게 유도

 

3. 완화곡선의 종류

 
 

① 3차포물선

② 클로소이드 곡선

③ 렘니 스케이트 곡선

 

4. 완화곡선의 특징

① 시점은 직선부에 접하고, 종점은 곡선부에 접한다.

② 곡선반경은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R로 줄어든다.

 곡률은 곡선장에 비례해서 증대된다.

 완화곡선의 곡률은 곡선길이에 비례한다.

 캔트 및 슬랙이 0에서 차차 커져 원곡선에서의 값과 같아진다. 완화곡선의 종점에서의 캔트는 원곡선의 캔트와 같다.

 

캔트(=편물배=편구배) : 원심력 고려 탈선 방지를 위해서 바깥커브의 높이를 올림

슬랙(=확폭) : 곡선부 탈선 방지를 위해 안쪽커프에 여분의 폭을 늘림

 

5. 완화곡선의 길이

1) 최소완화곡선의 길이

핸들조작에 곤란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길이(t=2)를 최소길이로 한다.

 

여기서, L : 최소완화곡선의 길이(m), V : 설계속도(Km/hr), t : 주행시간(2)

 

2) 완화곡선을 생략할수 있는 곡선 반경

계산값의 3배까지는 완화곡선을 생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이정량이 20cm미만의 경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