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초분광이미지의분류
- 측량및지형공간기술사
- 수치표면모형
- 측량및지형공간기술사 #기출문제 #논술문제
- 국제원자시의정의
- 제7차국가공간정보정책
- 초분광영상처리요소기술
- 국제원자시의원점
- 경중률
- 항공사진특수3점
- 비전 #목표 #추진전략
- 제125회
- Tasseled Cap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 #출제기준 #출제유형
- TIMEOFWEEK
- 초분광이미지
- 온맵 #국토지리정보원 #온맵제작
- GPSWEEK
- Hyperspectral
- 용어정리 #GPS오차원인 #구조적원인 #기하학적오차 #SA
- 수치표고자료
- 사진의특수3점 #투영방법
- ㅜ
- 국제원자시의측정방법
- Tasseled Cap 변환
- 수치표고모형
- GPSTIME
- 기출문제 #기출문제분석 #반복출제 #측량및지형공간기술사
- 경중률 #최확값
- 가우스곡선 #오차곡선 #확률밀도함수
- Today
- Total
클라우드의 데일리 리포트
GIS의 커버리지 (Coverage) 본문
1. GIS의 커버리지의 정의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지리적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 관리 및 표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GIS의 Coverage는 공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모델 중 하나입니다.
Coverage는 공간적으로 연속된 표면을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지형 데이터, 토양 데이터, 기상 데이터 등 공간적으로 연속된 데이터를 레이어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GIS의 커버리지의 구성요소
GIS Coverage는 공간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됩니다.
① 공간 객체: GIS Coverage는 공간 객체를 포함합니다. 이 공간 객체는 일반적으로 점, 선, 면 등과 같은 기하학적 도형(shape)으로 표현됩니다.
② 속성 데이터: GIS Coverage는 공간 객체의 속성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이 속성 데이터는 공간 객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 정보를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도로의 길이, 건물의 면적, 생물의 종류 등이 될 수 있습니다.
③ 좌표체계: GIS Coverage는 좌표체계(coordinate system)를 사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위치시킵니다. 좌표체계는 일반적으로 위도와 경도 혹은 측지 좌표로 표현됩니다.
④ 격자: GIS Coverage는 필드에 기반을 둔 격자(grid)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이 격자는 일반적으로 사각형 격자 형태를 사용합니다.
⑤ Topology: GIS Coverage는 공간 객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토폴로지(topology)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간 객체들 간의 인접 관계, 포함 관계 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⑥ 메타데이터: GIS Coverage는 데이터의 속성, 생성일 등과 같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metadata)를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정보와 사용 가능한 정보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로 구성된 GIS Coverage는 공간 분석, 지도 작성, 위치기반 서비스 등에 사용됩니다.
3. GIS 공간모델
GIS 공간 모델링은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고 모델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지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예측, 시뮬레이션, 분석하는 등의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GIS 공간 모델링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레스터 모델링
레스터 모델링은 격자 형태의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모델링하는 방법입니다. 각 격자 셀은 일정한 크기와 값을 가지며, 이를 통해 공간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레스터 모델링은 지형, 기후, 생태계 등의 자연 환경 데이터를 모델링하기에 적합합니다. 이를 통해 재해 예측 및 예방, 자원 관리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② 벡터 모델링
벡터 모델링은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도형을 사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모델링하는 방법입니다. 각 도형은 공간적 정보뿐 아니라 속성 정보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공간 분석이 가능합니다. 벡터 모델링은 건물, 도로, 지적 정보 등의 도시 계획 데이터를 모델링하기에 적합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 계획, 교통 계획, 부동산 등의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또한 최근에는 3D 모델링 기술이 발전하여, 3D 모델링을 통해 건축물, 지형 등의 3차원 데이터를 모델링하는 것도 가능해졌습니다. 이를 통해 시각화 및 분석이 가능해지며, 도시의 시야 분석, 건축물의 태양광 적합성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